-
728x90반응형
중앙아시아 지역 타지키스탄의 농업 분야 2탄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3. 농업생산
○ 생산량
• 타지키스탄은 국토의 절반이 해발 3,000m 이상이며 가경지는 국토의 7%밖에 되지 않아 식량 생산량이 낮음
• 타지키스탄의 2020년(1기작, 2기작 합계) 곡물 생산량은 130만 톤이며 주곡인 밀은 84만 5,500톤, 보리와 귀리는 평균보다 적게 생산되었으며 주식 작물인 감자는 91만 6,000톤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됨
[표. 타지키스탄 주요 작물 재배면적 및 생산량]
구분 2019 2020 재배면적(ha) 재배면적(ha) 생산량(천 톤) 밀 263,960 268,374 846 보리 71,826 70,546 150 옥수수 16,958 17,238 110 호밀 238 1,472 - 귀리 2,094 1,732 - 쌀 12,394 12,944 60 콩 16,301 17,254 29 면화 185,671 186,155 403 감자 51,575 47,868 890 채소 67,016 69,785 2,007 • 밀은 재배면적이 27만 ha이고 면화는 18만 6,155ha로 전체 재배면적의 절반을 차지하며, 보리 7만 546ha, 감자는 4만 7,868ha, 채소류는 약 7만 ha 정도임
• 생산량은 밀 84만 6,000톤, 감자 89만 톤, 보리 15만 톤, 옥수수 11만 톤이며, 채소는 모두 합쳐 200만 톤임
• 감자, 엽채류, 멜론, 베리류 등의 과일은 Khatlon(45%), Sughd(31%), DRS(Districts of Republican Subordination)(22%) 등 세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음
○ 농자재
• FAO에 따르면 비료, 농약, 농기계 등의 농자재는 주로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 수입하고 있음
• 비료는 대부분 데칸농장에서 면화 재배에 사용
• 독립 이후부터 1999년까지 무기질 비료 사용이 급격히 감소(2만 3,200톤)하였지만 이는 유기질 비료의 활발한 사용으로 보완되었음(25만 6,400톤)
• 그 이후로는 무기질 비료의 사용이 다시 3배로 증가(2019년 기준 6만 7,900톤, 그러나 여전히 1991년 사용량 대비 절반 수준) 했으며, 주로 목화 재배(약 50%)에 사용되고 있다. 반면 유기질 비료의 사용은 줄면서 주로 채소류, 감자, 사료 작물의 재배에 사용함
• 농기계의 경우 2019년 기준 사용 중인 농기계 수는 2만 7,776대로 전년도 대비 2% 증가하였으나 1대당 23.9ha 정도를 담당하는 꼴로, 여전히 농기계 사용이 저조해 농작물 수확량은 20~30% 감소함
• 경작지 100km2 당 트랙터 수는 최저 수준(108대)이며, 농기계 수입은 재개되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규모도 작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정부는 연간 70만 달러의 예산을 할당하여 농기계 및 자재 수입을 위한 비용을 지원하고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다양한 국가 지원 및 기부 사업도 추진하고 있으나, 농기계 확보 수준은 여전히 미흡함
• 병충해 통제도 효과적이지 못하여 지속 가능한 식량 작물 생산을 방해하는 주요 장애물이 되고 농약 판매 및 등록 체계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아서 등록 및 관리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시중에 판매되는 농약 상품은 노후하고, 농작물에 해로우며, 유통기한이 지나거나 모조품인 경우가 허다함
• 국가 전체 지역 중 4분의 3에서는 모로코 메뚜기로 인한 병충해가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병충해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은 남부의 하틀론이며, 그다음으로 수그드, DRS에서도 피해가 발생함
• 최근 10년간 메뚜기 병충해가 관찰된 농경지 면적은 약 50만 ha이며, 연간 메뚜기 병충해 처치 면적은 약 6만~14만 ha에 달함
• 병충해 규모도 광대하여 약 4,000km의 국경에 걸쳐 여파를 미치므로, 인접국을 위협하는 병충해를 관리하려면 권역 내 협력을 통한 대응이 필요함
• 메뚜기 떼로 인한 총 피해 규모는 연간 1,000만~1,500만 달러에 달하고 이러한 메뚜기 병충해는 타지키스탄의 최저소득층의 생계를 위협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피해는 더욱 치명적임
• 종자는 2020년에 러시아에서 밀 36.3톤, 중국에서 옥수수 123톤, 러시아, 카자흐스탄, 독일에서 씨감자 202톤, 그리고 중국, 터키에서 면화 종자 188톤을 수입하고 있음
○ 수자원과 기반시설
• 전체 관개농지의 60%가 침식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경지의 97%는 관개의 비효율성과 지하수의 염수 침투 피해를 입고 있었고 또한 과밀 방목으로 인해 85%의 초지 토양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 전국의 관개지 면적은 총 75만 ha에 달하고 타지키스탄의 총 내륙 지표수는 연간 60.46km3으로 추산됨
• 인접국에서 유입되는 지표수는 연평균 13.31km3인 반면, 유출되는 지표수가 연평균 54.86km3에 달함
• 게다가 국내 지하수 규모는 연간 약 6km3인데, 여기서 3km3가 지표수와 중복됨
• 매년 관개 농업에서 사용되는 용수는 총 취수량의90~92%를 차지하며, 고랑 관개법은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면 관개 방식임
• 에너지・수자원부를 조직하여 수자원 부문 정책 및 법률을 확립하는 한편, 개간관개청을 조직하여 지속 가능한 관개 및 배수 체계 운영 관리를 추진함
• 그 결과, 4개의 유역, 즉, 시르다리야(SyrꠓDarya) 강 유역, 피르니간(Kafirnigan) 강 유역, 바흐쉬(Vakhsh) 강 유역, 판즈(Panj) 강 유역이 형성됨
• 수자원 사용량의 85%가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으나, 관개 인프라 부족, 비효율성, 관리 부실로 인해 실제 작물에 사용되는 수자원은 40%에 불과함
• 나머지 60%는 자연관개시설이나 20세기 중반에 설치한 이후로 개선되지 않았으며, 펌프식 관주방식의 관개시설의 경우 시설 노후화와 전력 비용 상승으로 인해 효율적인 활용이 어려운 상황
• 열악한 관개 시설로 인해 현재 관개용수가 공급되고 있는 경작지는 50만 ha 미만에 불과하고 펌프 수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나, 펌프 및 모터의 40~50%는 더이상 작동하지 않는 상태임
• 2012년 8월 31일 공표된 2012~2020년 타지키스탄 관개지 신규 개발 및 노후 농경지 복구 프로그램은 국가 예산과 개발 협력 단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관개 지를1만 8,890ha 확대하고 7,800ha의 농경지를 복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이 야심 찬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고, 개간 조건도 여전히 열악함
• 비효율적인 관개와 지하수의 염수 피해로 인해 해마다 10만 톤가량의 면화생산이 줄어드는 등, 생산성 제고에도 부정적인 영향
• 타지키스탄에서 수자원 관리 및 보호를 담당하는 주요 기관으로는 에너지・수자원부, 개간관개청, 농업부, 보건사회보호부, 환경보호위원회, 타지키스탄 수문기상청, 비상민방위위원회, 지질학본부, 산업안전광업관리국, 국영통합기업(Khochagii Manzili Kommunali), 개방형 합작회사(Barki Tojik), 물이용자 조직(WUA) 등이 있음
타지키스탄의 농업에 대해서 생산관련 이야기를 전달드렸습니다.
계속해서 다양한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728x90반응형'중앙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농업 4탄 (0) 2024.05.05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농업 3탄 (1) 2024.05.04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농업 (3) 2024.05.02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경제자유구역 (1) 2024.05.01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경제현황 (2)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