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우리나라 공여 활동

jackkuk 2024. 5. 16. 11:00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공여 활동

 

 

1) 지원현황 및 실적

 

○ 지원 규모

 

• 타지키스탄 ODA는 지난 5년간 총 920만 달러가 제공되었으며, 무상원조의 비중이 전체 ODA의 100%를 차지

 

○ 시행기관

 

•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가장 높은 비중(50%)을 차지, 그 외에 관세청, 산림청, 교육부, 국토교통부 등 있음

 

○ 주요 지원 분야

 

• 에너지 항목이 가장 높은 비중(34%)을 차지, 그 외에 무역정책 및 규제, 농림어업, 교육, 물 공급 및 위생 등

 

분야 총 지원금액 비중
에너지 3,154,955 34%
무역정책 및 규제 2,820,854 31%
농림어업 1,129,053 12%
교육 636,212 7%
물 공급 및 위생 490,314 5%
기타 사회인프라 및 서비스 405,139 4%
공공행정 및 시민사회 316,750 3%
기타 다분야 105,372 1%
비특정분야 62,643 1%
은행 및 금융서비스 41,177 0.4%
기타 33,227 0.4%

타지키스탄 국가협력 전략, 2022.01, 관계부처 합동

 

2) ODA 추진 SWOT 분석

 

[. 타지키스탄 개발협력 SWOT]

 

SWOT 국내요인 수원국 요인
강점 무상원조 기본 협정 체결 수자원 및 섬유자원, 광물자원을 바탕으로 한 성잠잠재력 보유
약점 낮은 교역액 취약국이자 저소득국으로서 투자위험성 존재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
제조업 기반시설 부족
높은 해외송금 의존도
내륙국이자 산악지형으로 높은 물류비용 발생
기회 신북방정책 대상국
기술협력 사업의 비교우위 보유
-중앙아 협력포럼 등 다자협의체 보유
경제공동위 신설 등 외교, 경제 협력 강화
높은 경제성장률
운송 회랑으로서의 지정학적 위치
위협 해외사무소 부재 독재체제화 및 낮은 거버넌스 지수
중국, 러시아, 아프간 등 인접국과 국방 문제
민족 간 대립
높은 외채비중

 

3) 우리나라 개발 협력 우선순위

 

○ 수원국의 SDGs 이행현황, 국가개발전략, 개발 수요를 고려하고, 우리의 비교우위 분야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중점협력분야를 지정하여 ODA 사업 적극 발굴·추진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보건 분야 지원 확대하고, 디지털‧그린 등 한국판 뉴딜과 연계된 전략 분야 ODA 확대 및 시민사회 파트너십 강화도 추진

 

○ 양국 정부는 정상회담 등 다양한 계기, 수자원·에너지, 섬유, 보건 등의 분야에 있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해온바, 동 분야 ODA 후보사업 발굴‧지원 지속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