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공여국 활동
타지키스탄 내 주요국 공여 활동을 정리한다.
○ 주요 공여국 및 기관 공여 활동
• 구소련 독립 이후 다자기구로부터 ODA 지원 규모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양자 공여국 지원(미국, 독일 등)은 ’00년대 초반 급증한 후 ‘15년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 • 양자에서는 미국(19.8%, 173백만弗), 독일(16.4%, 143백만弗), 일본(15.7%, 137백만弗) 등이며, 다자에서는 ADB(45%, 596백만弗), 세계은행 (19.3%, 255백만弗), EU(11.8%, 156백만弗)가 집중지원 중임
• 에너지와 운송·저장 분야에 대한 ODA 지원 규모가 가장 컸으며, 그 외 거버넌스, 보건, 농림수산, 물·위생 분야 지원
<다자기구> | <양자 공여국> | |||||||
순위 | 기구 | 금액 (백만 달러) |
비중 | 순위 | 국가 | 금액 (백만 달러) |
비중 | |
1 | ADB | 569.2 | 45.0% | 1 | 미국 | 172.6 | 19.8% | |
2 | 세계은행 | 255.3 | 19.3% | 2 | 독일 | 143.0 | 16.4% | |
3 | EU | 155.6 | 11.8% | 3 | 일본 | 136.8 | 15.7% | |
4 | IsDB | 63.9 | 4.8% | 4 | 스위스 | 113.2 | 13.0% | |
5 | 글로벌기금 | 51.9 | 3.9% | 5 | 러시아 | 85.0 | 9.8% | |
6 | OSCE | 36.3 | 2.7% | 6 | 사우디 아라비아 |
79.8 | 9.2% | |
7 | IFAD | 30.4 | 2.3% | 7 | 영국 | 35.9 | 4.1% | |
8 | CIF | 23.6 | 1.8% | 8 | 쿠웨이트 | 30.1 | 3.5% | |
9 | GAVI | 21.0 | 1.6% | 9 | UAE | 19.7 | 2.3% | |
10 | OPEC Fund | 18.5 | 1.4% | 10 | 카자흐스탄 | 14.4 | 1.7% | |
다자 ODA 총액 | 1,323.8 | 100% | 양자 ODA 총액 | 871.0 | 100% |
※ OECD Stat, 타지키스탄 국가협력 전략 2022.01, 관계부처 합동
○ 주요국 공여 활동 추진계획
공여국/기관 | 전략서 | 중점분야 |
아시아 개발은행 (ADB) |
Country Operations Business Plan (2021-2023) |
• 주요 병목현상 제거를 위한 인프라 투자 지속: 교통, 에너지, 수자원 및 도시 인프라 서비스 • 고용 확대를 위한 투자환경 개혁 추진: 공공부문관리, 보건 및 교육 • 식량원조 및 가치사슬 개발, 수자원관리, 기후변화 적응 관련 통합적 지원: 농업, 자연 자원, 농촌개발 |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2021-2025 작성중) |
• 인프라 투자 강화: 에너지, 교통, 도시개발 • 고용 확대를 위한 투자환경 개혁 및 역량개발: 공공 부문관리, 직업훈련 • 식량원조, 물관리 및 기후변화적응 통합지원 : 농업 및 자연자원 |
|
세계은행 (IDA) |
Country Partnership Framework for (FY19-FY23) |
• 인적자원과 회복력: ① 교육서비스 강화, ② 보건서비스 강화, ③ 지역사회 주민 회복력 강화 • 공공 기관 및 지속가능성: ④ 공용 전기 및 수도시설에 대한 금융 실용성(financial viability) 향상, ⑤ 관세청/통계청 효율성 강화 • 민간부문 성장 촉진 및 시장 형성: ⑥ 기업환경향상 및 지속가능한 무역 촉진, ⑦ 민간활동 활성화에 대비한 공공 인프라 개혁 |
미국 | Tajikistan Country Profile |
• 식량 안보 및 농업 • 보건 및 교육 • 민주주의와 거버 |
독일 | KFW 홈페이지 | • 농촌지역개발 • 지속가능한 경제 개발 • 보건 |
• 타지키스탄 발전전략 상 강조한 보건·농업 분야 이외에도 거버넌스·교육 분야에 대해 추가적인 지원을 하였고, 다자기구의 경우 에너지·운송 분야를 집중지원
• 미국에서는 농업, 물, 위생 분야 외에도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측면에서 이주 노동자의 고용 및 인권보호를 강조 - 고용 창출 및 해외 이주노동 문제는 SDG 8(경제 및 일자리)과 관련된 문제로 상당한 개선이 필요한 부문
• 아시아개발은행에서는 교통, 에너지, 인프라 및 공공부문에 대한 지원을 지속 추진 중
- 특히 중점분야 내 타지키스탄의 환경 변화와 지속적인 수요를 파악하고 관련 전략문서를 지속 업데이트
• 세계은행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보건 부문과 에너지, 교통 인프라 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농업부문에 대한 지원 규모가 큼